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망은 너를 자유롭게 하리라" 영화 <쇼생크탈출>

by 까망망토 2023. 2. 22.
반응형

개봉: 1995년 1월 28일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드라마
러닝타임: 142분
감독: 프랭크 다라본트 (Frank Darabont)
출연: 팀 로빈스, 모건 프리먼

관객들이 뽑은 내 인생 최고의 영화

아카데미 7개 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었지만 수상은 못한 비운의 영화이다.  당시 아카데미 심사위원회가 <포레스트 검프>, <라이온 킹> <펄프 픽션> 등의 작품에 손을 들어주며 <쇼생크 탈출>은 무관의 제왕으로 남아야 했다. 하지만 관객들은 그때는 물론 지금도 <쇼생크 탈출>에게 손을 들어주고 있다. 수상하지는 못했으나 아카데미 후보에 노미네이트 되면서 개봉 이후 비디오시장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비디오 판매와 대여 1위를 차지하며 비디오 시장의 수익이 제작비의 33배가 넘었다고 한다.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평론가'로저에버트'는 자신의 저서<위대한영화>에서 다시보면 볼수록 더 좋은 영화로 소개하고있으며,  미국의 영화정보 사이트IMDb에서 관객들이 뽑은 최고의 영화 1위를 10년이나 넘게 차지하고있다.

 

제작노트

쇼생크 탈출은 호러의 대가 스티브킹의 1982년 리타헤이워즈와 쇼생크탈출( Rita haywirth and shawshank redemption) 을 원작으로 하고있다. 4개의 단편을 모은 (사계:Different Seasons) 라는 책에 중편 소설 중 '봄'편 영원한 희망의 계절 이었다.

소설의 영화 판권은 1987년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이 직접 스티브킹 에게  한화 약 500만원에 직접 구입했다.

스티브 킹은 본인이 쓴 소설중 쇼생크 탈출을 가장 좋아한다고 전해진다.

당시에는 교도소에 관련된 영화는 무조건 흥행에서 참패한다는 불분률이 있을뿐 아니라 여성 캐릭터가 전혀 등장하지 않아 러브 라인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쇼생크 탈출은 제작 당시부터 많은 우려가 있었다.

 쇼생크: shawshank 가 가상의 교도소 였기 때문에 무슨 의미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제목도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개봉 당시 나라별로 제목이 달랐다. 프랑스(탈출) ,독일(유죄), 이탈리아(자유의 날개) 멕시코( 탈출의 꿈) 스페인에서는 (종신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하였다.

줄거리

촉망 받던 은행 부지점장 ‘앤디(팀 로빈슨 分)’는 아내와 그 애인을 살해한 혐의로 종신형을 받고 쇼생크 교도소에 수감된다. 강력범들이 수감된 이곳에서 재소자들은 짐승 취급 당하고, 혹여 간수 눈에 잘못 보였다가는 개죽음 당하기 십상이다. 처음엔 적응 못하던 ‘앤디’는 교도소 내 모든 물건을 구해주는 ‘레드(모건 프리먼 分)’와 친해지며 교도소 생활에 적응하려 하지만, 악질 재소자에게 걸려 강간까지 당한다. 그러던 어느 날, 간수장의 세금 면제를 도와주며 간수들의 비공식 회계사로 일하게 되고, 마침내는 소장의 검은 돈까지 관리해주게 된다. 덕분에 교도소 내 도서관을 열 수 있게 되었을 무렵, 신참내기 ‘토미(길 벨로우스 分)’로부터 ‘앤디’의 무죄를 입증할 기회를 얻지만, 노튼 소장은 ‘앤디’를 독방에 가두고 ‘토미’를 무참히 죽여버리는데...

*미술이야기

제작비의 문제로 교도소와 비슷한 다른 건물에서 촬영되었다.

촬영 3년전에 문을 닫은 오하이오 주립 소년원에서 촬영되었으며 내부는 죄수들이 마주 보는 형태로 촬영 해 해서 세트 촬영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영화 촬영 이후 철거 예정이었으나 영화 촬영 이후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면서 현재는 관광지로 보존 되고 있다고 한다. 오하이오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엔딩 장면 출소후  레드가 편지를 꺼내보는 곳은 오하이오주 리치몬드 카운티 malabar farm  state park 촬영되었다.

제작진이 일일히 손으로 돌 담을 쌓았다고 한다. 영화 촬영 후 토지의 주인이 인터넷으로 돌을 경매로 판매했다고 한다.

오크나무도 2011년에 벼락을 맞아 쓰러졌다고 한다.

Review 

진정한 자유를 찾아서.

레드는 희망은 위험하고 사람을 미치게 하는것이며 이곳에서는 아무쓸모가 없으니 그냥 사실을 받아들이는게 좋다 하지만..삭막한 교도소 안에서 희망을 꿈꾸는 앤디를보며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영화이다.

마지막 대사는 freedom 자유가 아닌 hope 희망이다.

희망은 좋은거죠. 가장소중한것이죠.좋은것은 절대 사라지지 않아요.

 

반응형

댓글